Amazon S3 이용
킴스큐 웹호스팅의 저장공간은 300M
로 시스템 파일과 각종 레이아웃과 테마 만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입니다. 첨부 사진과 파일을 저장하기에 부족한 공간 인데요. 외부의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파일서버를 구축하고 저장공간을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웹서버와 파일서버를 분리하는 것은 안정성이나 보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S3 사용을 적극 추천 합니다.
개요
AWS 란 ?
AWS는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의 약자입니다.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아마존 웹 서비스’ 는 다른 웹 사이트나 클라이언트측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WS S3 란 ?
아마존 S3(Simple Storage Service) 는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스토리지 웹 서비스로서 파일저장소 및 파일서버의 역할을 합니다.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고 가용성이 높으며 무제한으로 확장 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를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간단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는 업계 최고의 확장성과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Amazon S3는 사용하기 쉬운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특정 비즈니스, 조직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에 따라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세부적인 액세스 제어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Amazon S3는 99.999999999%의 내구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 세계 기업의 수백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특장점
- 중요한 정보를 안심하고 저장할 수 있다.
-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중단될 걱정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 보안성이 뛰어나다.
- 고성능이다.
이용료
S3는 저장과 전송을 구분하여 요금을 청구합니다.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청구하며, 요금은 각종 옵션에 따라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AWS 월 사용량 계산기를 사용해 월별 청구액을 추산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월 이용료
저장 단가 | 50원 / GB 당 |
---|---|
전송 단가 | 150원 / GB 당 |
1G의 첨부파일을 저장하고 월 30G의 트래픽(전송)이 발생했다면 스타벅스 커피 한잔 정도의 요금이 발생합니다.
50원 + (150원 x 30G) = 4,550 원 |
---|
요금과 관련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무료로 시작하기
가입일로 부터 1년간 5GB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AWS 프리티어 를 이용하면 Amazon S3를 무료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입하면 AWS 신규 고객에게는 1년 동안 매달 5GB의 Amazon S3 스탠다드 스토리지, 20,000건의 Get 요청, 2,000건의 Put 요청, 15GB의 데이터 수신, 15GB의 데이터 송신 혜택이 제공됩니다.

연동절차
Rb2에서 업로드된 파일을 S3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가지 절차 수행이 필요합니다.
AWS 계정 생성
https://aws.amazon.com/ko/ 에 접속 후, 우측상단에 ‘AWS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AWS 콘솔 접속
aws에 접속 후 , 우측상단의 ‘콘솔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S3 버킷 생성
AWS S3 콘솔으로 이동 합니다.

버킷 만들기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단위(Rb2 시스템)로 버킷을 생성하시어 연동하기 때문에 웹사이트 별로 하드 디스크를 하나씩 할당하여 사용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버킷 이름 및 리전설정

버킷 이름 | 버킷 이름은 고유해야 하며, 영문으로 입력해 주세요. |
---|---|
리전 | 대한민국에서 사용하신 다면 아시아 태평양(서울)을 선택해 주세요. |
버킷 권한 설정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에 체크를 해제 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AWS 사용자 추가
외부에서 S3를 API 접속 하려면 사용자 등록과정이 필요합니다. 콘솔 우측상단 메뉴에서 ‘내 보안 자격 증명’ 을 클릭합니다.

좌측메뉴에서 ‘사용자’ 를 클릭 한 후, ‘사용자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액세스 유형선택
사용자 이름 입력 후, 액세스 유형을 ‘프로그래밍 방식 액세스
’ 를 선택합니다.

권한설정
S3에 폴더생성,파일업로드,파일 삭제 등의 권한이 필요한 만큼 ‘AmazonS3FullAccess
’ 를 선택합니다.

태그 추가는 선택사항 으로 설정하기 않고 다음단계로 이동 하겠습니다.


액세스 키 확인

S3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추가가 완료되었습니다. 액세스 키 ID, 비밀 액세스 키를 확인 합니다.
Rb2 → S3 연동
Rb2 에서 업로드 되는 파일은 미디어셋 모듈이 담당합니다. 미디어셋 환경설정에서 연동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Rb2 관리자 모드 > 미디어셋 > 환경설정 에 접속합니다.
파일 저장소 항목을 AWS S3 로 선택 한 후, 연동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액세스 키 ID | aws 사용자 정보에서 확인 |
---|---|
비밀 액세스 키 | aws 사용자 정보에서 확인 |
리전 | 버킷 생성 시 아시아 태평양(서울) 를 선택했다면 ap-northeast-2 를 입력 |
버킷 | 버킷 생성 시 입력한 버킷 이름 입력 |
연동 완료시점 부터 Rb2을 통해서 업로드 된 모든 사진 및 파일은 S3에 저장되고 이곳을 통해 서비스 됩니다.
게시판 이나 댓글을 통해서 업로드된 파일은 아래와 같이 S3 버킷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동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
S3 클라이언트 툴
S3에 업로드된 파일들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툴을 통해 좀더 편리하게 로컬에 백업받고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s3 browser | AWS S3(Object Storage) 를 위한 윈도우s 클라이언트 프리웨어. |
---|---|
Cyberduck | FTP 및 SFTP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를위한 오픈 소스 클라이언트로, macOS 및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