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연결

아래 그림은 도메인이 사이트에 연결 되기 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 합니다.

사전 준비사항

도메인 구매

원하는 도메인이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의 도메인 등록서비스를 이용하시거나 선호하시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셔서 원하는 도메인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도메인 네임서버 등록

도메인을 웹서버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네임서버(DNS)가 필요합니다.도메인 등록업체에서 네임서버(DNS) 관리기능을 제공합니다.  

본 도움말에서는 lightsail 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DNS)를 이용하겠습니다.

DNS 영역 생성

  1. 라이트세일 관리콘솔에 접속 합니다.
  2. ‘네트워킹’ 탭을 선택합니다.
  3. ‘DNS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등록하려는 도메인을 입력한 후, 하단의 ‘DNS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redblock.co.kr (예시) 라는 DNS영역이 생성되었습니다.  해당영역을 클릭하여 세부정보화면으로 이동합니다. 

DNS 영역 세부정보 화면 하단에 이름 서버(네임서버) 정보를 확인합니다.

도메인 네임서버 정보변경

  1. 도메인을 등록한 서비스에 접속합니다. ( 예: 후이즈,아이네임즈, 가비아 등 )
  2. 도메인 네임서버 정보변경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네임서버를 1차에서 4차 까지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 아이네임즈의 도메인 네임서버 정보변경 화면 >

[참고] 도메인에 등록된 네임서버가 등록/변경을 위해서는 1~2일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웹서버 연결

  1. 라이트세일 관리콘솔에 접속 합니다.
  2. ‘네트워킹’ 탭을 선택합니다.
  3. DNS 영역을 선택 합니다.
  4. ‘+레코드 추가’ 링크를 클릭합니다.
  5. A 레코드를 선택합니다.
  6. 하위도메인 입력항목에 @를 입력합니다.
  7. 아이피 입력항목을 클릭하여 연결할 고정아이피를 선택합니다.
  8. 체크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www 서브도메인 또한 A 레코드로 연결합니다.

서브 도메인 연결
서브 도메인을 연결할 경우에는  레코드 항목을 추가한후, 하위 도메인 입력항목에  서브 도메인을 입력하고 고정 IP를 선택하여 추가저장 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진행하면  도메인이 네임서버를 경유하여 웹서버까지 연결됩니다.
브라우저에서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apache 루트에 설정된 서버구성 완료 페이지가 출력 되면 네임서버와 웹서버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 입니다.

가상호스트 설정

가상 호스트 등록

Lightsail 관리콘솔에 접속하여 인스턴스  연결 하여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

[ec2-user ~]$ sudo sh ~/virtualhost-auto create [도메인] [계정아이디]

아래 코드는 redblock 사용자 계정에 redblock.co.kr 은 연결하는 예시 화면 입니다. 

< 정상 실행 화면 >

/etc/httpd/conf.d/ 폴더 하위에 [도메인].conf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c/hosts 파일에 도메인 항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TP를 활용하여 DocumentRoot 에서 지정한 경로의 파일을 업로드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정상적으로 호출되는지 확인 합니다.

사이트에 연결

킴스큐 Rb2 설치가 필요합니다.

가상호스트 설정을 통해 서버의 홈 디렉토리로 연결된 도메인은 첫번째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멀티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Rb2 도메인 모듈을 통해 특정 사이트로 분기할 수 있습니다.

Rb2관리자 모드 > 도메인 모듈 에 접속하여 도메인을 연결합니다.

< Rb2 관리자모드 >

 

도메인 삭제

[ec2-user ~]$ sudo sh ~/virtualhost-auto delete [도메인]

참고자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