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RB2를 설치해보지 않아서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RB2의 웹앱 서비스에 대해 물어봅니다.
웹서비스 pc버전을 말하고…
앱서비스 스마트폰의 mobile웹버전(브라우저)을 말씀 하는건가요.
아니면 앱스토어(안드로이드/IOS) 서비스를 말하는 건가요.
전 개인적으로 저 모든걸 다 되도록 서비스하는 걸로 이해를 하고 있기는 합니다.
정말 이것이 다 된다면 RB2는 정말 대단한 솔루션 서비스라고 생각 합니다.
앱스토어 서비스도 진행되는거라면.
하이브리드(웹뷰)앱 서비스로 안드로이드/IOS 등록 서비스도 진행 되는 건가요.
그렇다면 https는 필수 사항이겠군요…(앱서비스를 안한다면 필수 사항은 아니겠군요)
요즘들어 RB2의 기능적 서비스적 무엇을 추구하려고 하는지 혼돈이 옵니다.
킴스큐는 대중적으로 누구나 일반사람도 쉽게 웹사이트를 구축 및 운영 할 수 있다가 메인 컨셉 아니였나요.
지금의 킴스큐는 일반인은 사용하기 힘들거란 생각 입니다.
RB1으로 일반 홈페이지 구축만 최소 30개 이상 했고.
지금 회사 홈페이지도 RB1으로 구축 했습니다.(RB2 기다리다 RB1으로 진행함)
일반인이 https가 뭐야 git가 뭐야…당연한거 아닐까요…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와 현상관리 서비스를 일반인이 알아야하는건가…
그럼 RB2는 웹에이전시, 개발자를 위한 솔루션인건가…
이제 RB2는 특정사람들을 위해 유료화 시키신건가…(유료화 된거가 불만 사항은 아닙니다..^^)
https야 그래 보안문제도 있고 구글에서 마케팅상 https를 지원해야 점수 더 주고 하니깐 유료신청해서 사용하다고 해도.
git은 압축으로 주던 파일을 git에서 받아서 설치하기 위해 설치해야 한다.
자동업데이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git를 설치해야 하는건가..(추후 git버전업하면 이것도 업데이트 및 재설치 해야 하는…)
지금 하고자 하는 기능이 필요 없는 서비스라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대형 사이트 구축에는 필요할 수도 있다 생각 합니다.
간단하게 회사제품소개 홈페이지에 데스크탑웹/모바일웹만 필요한 업체에서 RB2의 서비스를 쓰기위해 시간가 돈을 투자 해야 한다면…이런 소형 사이트들은 그누보드, 워드프래스, xe가 더 편하지 않을까요…
다시 한번 RB2가 어떤 서비스를 지향할 건지 정리좀 부탁 드립니다.